CS

GSLB와 CDN

주코식딩 2024. 1. 17. 16:49

GSLB와 CDN 모두 현재 내가 접속한 위치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서버로 사용자의 요청을 라우팅하는 역할을 한다.

 

두 기술은 정적 콘텐츠, 동적 콘텐츠 중 무엇을 다루느냐가 가장 큰 차이점이다.

 

GSLB (Global Server Load Balancing)

  • 동적인 콘텐츠
  • 트래픽 분산
    • 지리적으로 가까운 서버로 요청을 라우팅 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산하는 역할도 한다.
  • 안정성
    • 만약 서버가 다운되더라도 최적의 서버로 요청을 라우팅하기 때문에 서비스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.

 

CDN (Content Delivery Network)

  • 정적인 콘텐츠
  • 캐싱
    • 이미지나 js파일 같은 정적인 콘텐츠를 캐싱해두고 빠르게 제공해 웹사이트의 로딩속도를 향상시킨다.
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무중단 배포 3가지 방법 (Rolling, Blue-Green, Canary)  (0) 2024.01.28
동기 비동기, 블록킹 논블록킹  (0) 2024.01.19
쓰레드 특징 (프로세스와 비교)  (1) 2024.01.12
ORM, JPA, Spring Data JPA 란  (0) 2022.06.09
DB Index  (0) 2022.05.27